본문 바로가기
ITsue/IT 지식

DNS가 뭐길래? 도메인이 작동하는 원리 알아보기

by rien_d 2025. 3. 26.

DNS가 뭐길래?


우리가 매일처럼 사용하는 인터넷 주소, 즉 도메인은 어떻게 작동하는 것일까요? 브라우저에 www.naver.com이나 www.google.com을 입력했을 때, 어떤 원리로 그 사이트에 접속되는지 궁금했던 적이 있으신가요? 이 모든 과정의 핵심에는 바로 DNS 시스템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DNS란 무엇인지, DNS 작동 원리, 그리고 도메인이름 해석 과정까지 도메인 작동 방식을 처음부터 끝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IT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DNS란 무엇인가요?

DNS란 무엇인가요?


DNS(Domain Name System)란, 도메인 이름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www.example.com이라는 도메인을 입력하면, DNS는 해당 도메인에 해당하는 IP 주소(예: 93.184.216.34)를 찾아서 브라우저가 해당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과정을 도메인이름 해석 또는 네임 리졸루션(Name Resolution)이라고 부릅니다. DNS란 쉽게 말하면, 인터넷의 전화번호부와 같습니다. 사람은 google.com 같은 이름을 기억하기 쉽지만, 컴퓨터는 숫자로 된 IP 주소를 통해 통신합니다. 그래서 이 둘을 연결해주는 시스템이 꼭 필요합니다.




DNS 작동 원리 알아보기

DNS 작동 원리 알아보기


DNS 작동 원리는 생각보다 복잡하면서도 논리적입니다. 다음은 DNS 요청이 처리되는 일반적인 과정입니다.

사용자 요청
  •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도메인 이름을 입력합니다.
로컬 DNS 캐시 확인
  • 사용자의 컴퓨터나 브라우저는 먼저 로컬에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DNS 서버 요청
  • 로컬에 정보가 없으면, 요청은 DNS 서버로 전송됩니다. 이 서버는 보통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하는 DNS 서버입니다.
계층적 질의
  • DNS 서버는 루트 서버 → TLD 서버(예: .com) → 권한 있는 네임서버(Authoritative Name Server) 순으로 질의를 전달합니다.
IP 주소 반환
  • 최종적으로 도메인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으면, 그 결과가 사용자에게 반환되어 웹사이트에 접속하게 됩니다.


이처럼 DNS 시스템 구조는 루트부터 하위 도메인까지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매우 체계적이며, 수백만 개의 도메인이 문제없이 작동할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도메인과 IP 주소의 관계

도메인과 IP 주소의 관계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부분이 바로 도메인과 IP 관계입니다. 도메인은 사용자가 읽기 쉽도록 만든 이름일 뿐이고, 실제로는 IP 주소를 통해 통신합니다. 예를 들어 naver.com이라는 도메인을 입력하면, 실제 접속은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로 이루어집니다.

이 관계를 중개해주는 것이 바로 DNS 서버의 역할입니다. 즉, 도메인은 사용자 친화적인 이름이고, IP는 컴퓨터 친화적인 주소입니다. 도메인 작동 방식을 이해한다는 것은 결국 이 둘을 연결하는 DNS 시스템 구조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DNS 서버의 역할

DNS 서버의 역할


DNS 서버 역할은 단순히 IP 주소를 찾아주는 것 이상의 기능을 포함합니다. 캐싱 기능을 통해 자주 조회되는 도메인 정보를 저장하고, 질의 속도를 높입니다. 또한, 부하 분산 및 장애 대응을 위한 기능도 수행합니다.

DNS 서버는 크게 세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 루트 네임서버(Root Name Server): 최상위에 있으며, TLD 서버 정보를 제공합니다.
  • TLD 서버(Top-Level Domain Server): .com, .net, .org와 같은 도메인 확장자를 담당합니다.
  • 권한 있는 네임서버(Authoritative Name Server): 실제 도메인의 IP 주소 정보를 보유합니다.




DNS 쉽게 설명하면?
도메인을 입력하면 IP 주소를 알려주는 똑똑한 주소책


DNS 쉽게 설명하자면, “도메인을 입력하면 IP 주소를 알려주는 똑똑한 주소책”입니다.
예를 들어, www.apple.com이라는 주소를 입력하면, DNS가 “그 주소는 17.253.144.10이야”라고 알려주는 것입니다. 이 과정을 사람이 눈치채기도 전에 자동으로 빠르게 수행하는 것이죠.

이런 방식 덕분에 우리는 IP 주소를 외우지 않고도, 직관적인 도메인만으로 원하는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인터넷을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조력자

인터넷을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조력자


DNS 기본 개념을 이해하면, 인터넷의 작동 원리를 한층 더 깊이 있게 볼 수 있습니다. 단순한 주소 입력 뒤에는 이렇게 정교한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DNS란 도메인과 IP를 연결해주는 중개 시스템이며, DNS 작동 원리는 계층적인 질의를 통해 정확한 IP를 찾아주는 구조입니다. 도메인 작동 방식을 이해하려면 DNS 시스템 구조, DNS 서버 역할, 그리고 도메인과 IP 관계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