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 공부 3일차! 오늘은 연산자와 제어문을 배워볼 거예요.
연산자는 데이터를 계산하고 조작하는 기본 도구이고, 제어문은 코드의 흐름을 조절하는 중요한 문법이에요.
특히, 산술 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 조건문(if, else, switch), 반복문(for, while, do while), 그리고 break와 continue 활용법을 알아두면 실전에서 많이 써먹을 수 있어요!
1. 연산자 (Operators)
연산자는 값을 계산하거나 비교할 때 사용돼요.
크게 산술 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로 나눌 수 있어요.
✅ 산술 연산자 (Arithmetic Operators)
숫자를 계산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예요.
연산자 설명 예제 (a = 10, b = 3)
+ | 더하기 | a + b = 13 |
- | 빼기 | a - b = 7 |
* | 곱하기 | a * b = 30 |
/ | 나누기 | a / b = 3.33 |
% | 나머지 | a % b = 1 |
** | 거듭제곱 | a ** b = 1000 |
let a = 10;
let b = 3;
console.log(a + b); // 13
console.log(a ** b); // 1000 (10의 3제곱)
✅ 비교 연산자 (Comparison Operators)
값을 비교해서 true 또는 false를 반환해요.
연산자 설명 예제 (a = 10, b = "10")
== | 값이 같음 (타입 비교 안 함) | a == b → true |
=== | 값과 타입이 같음 | a === b → false |
!= | 값이 다름 | a != b → false |
!== | 값 또는 타입이 다름 | a !== b → true |
> | 초과 | a > 5 → true |
< | 미만 | a < 5 → false |
>= | 이상 | a >= 10 → true |
<= | 이하 | a <= 5 → false |
let x = 10;
let y = "10";
console.log(x == y); // true (값만 비교)
console.log(x === y); // false (값과 타입 비교)
console.log(x !== y); // true
💡 ==보다 ===을 쓰는 것이 안전해요!
✅ 논리 연산자 (Logical Operators)
조건을 조합할 때 사용돼요.
연산자 설명 예제 (a = true, b = false)
&& | AND (둘 다 true) | a && b → false |
` | ` | |
! | NOT (반대) | !a → false |
let a = true;
let b = false;
console.log(a && b); // false
console.log(a || b); // true
console.log(!a); // false
2. 조건문 (Conditional Statements)
조건문은 특정 조건이 참일 때만 실행되는 코드를 만들 때 사용돼요.
✅ if-else 문
let age = 20;
if (age >= 18) {
console.log("성인입니다.");
} else {
console.log("미성년자입니다.");
}
- 조건이 참이면 if 블록 실행, 거짓이면 else 실행.
let score = 85;
if (score >= 90) {
console.log("A 학점");
} else if (score >= 80) {
console.log("B 학점");
} else {
console.log("C 학점");
}
- 여러 개의 조건을 사용할 때는 else if를 활용할 수 있어요.
✅ switch 문
여러 개의 경우를 비교할 때 if-else보다 switch 문이 더 간결할 수 있어요.
let fruit = "사과";
switch (fruit) {
case "사과":
console.log("🍎 사과입니다.");
break;
case "바나나":
console.log("🍌 바나나입니다.");
break;
default:
console.log("알 수 없는 과일입니다.");
}
- break를 사용하지 않으면 다음 case도 실행돼요.
3. 반복문 (Loops)
반복문을 사용하면 같은 코드를 여러 번 실행할 수 있어요.
✅ for 문
for (let i = 1; i <= 5; i++) {
console.log(`현재 숫자: ${i}`);
}
- i = 1: 초기값 설정
- i <= 5: 조건 (참이면 실행)
- i++: 실행 후 증가
✅ while 문
let count = 1;
while (count <= 3) {
console.log(`반복 ${count}`);
count++;
}
- 조건이 true인 동안 계속 실행돼요.
✅ do-while 문
let num = 1;
do {
console.log(`현재 숫자: ${num}`);
num++;
} while (num <= 3);
- do 블록을 먼저 실행한 후 조건을 확인해요.
- 조건이 false여도 최소 한 번 실행돼요.
4. break와 continue 활용
✅ break 문
break는 반복문을 즉시 종료해요.
for (let i = 1; i <= 5; i++) {
if (i === 3) break;
console.log(i);
}
// 출력: 1, 2
✅ continue 문
continue는 현재 반복을 건너뛰고 다음 반복을 실행해요.
for (let i = 1; i <= 5; i++) {
if (i === 3) continue;
console.log(i);
}
// 출력: 1, 2, 4, 5
✅ 산술, 비교, 논리 연산자를 이해하면 데이터 조작이 쉬워져요.
✅ 조건문(if-else, switch)을 사용해 코드 실행 흐름을 조절할 수 있어요.
✅ 반복문(for, while, do-while)으로 코드를 여러 번 실행할 수 있어요.
✅ break는 반복문을 중단하고, continue는 현재 반복을 건너뛰어요.
이제 조건과 반복을 활용한 논리적인 코드를 짤 수 있겠죠? 🚀
다음 시간에는 함수와 스코프에 대해 배워볼 거예요!
'코드 정리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 14일 완전정복] 5일차 - 객체와 배열 (0) | 2025.03.07 |
---|---|
[자바스크립트 14일 완전정복] 4일차 - 함수와 스코프 (0) | 2025.03.06 |
[자바스크립트 14일 완전정복] 2일차 - 기본 문법과 변수 (0) | 2025.03.04 |
[자바스크립트 14일 완전정복] 1일차 - 자바스크립트! 첫걸음, 환경 설정부터! (0) | 2025.03.03 |
초보 개발자가 꼭 알아야 할 흔한 실수 4가지 (그리고 해결법!) (1) | 2025.02.19 |